로아비

정부지원금, 경제정보, IT리뷰까지 한눈에!

  • 2025. 4. 5.

    by. 로아비

    목차

      2025 공예 유통 프로모션 지원사업, 지금 모르면 진짜 손해입니다

       


      “이런 지원이 있는 줄 알았으면 벌써 신청했죠.”
      2024년에만 수십 명의 유통기획자들이 했던 말입니다.

       

      그 사람들 모두, 지금은


      ✔️ 지역 공예 팝업스토어를 열고 있고
      ✔️ SNS 마케팅도 정부 예산으로 돌리고 있으며
      ✔️ 작가들의 작품을 유통하며 수익도 올리고 있죠.

       

      그리고 이제,
      그 지원사업이 다시 열렸습니다.
      2025년, 총 10.4억 규모로요.

       


      📌 지금 뜨는 ‘공예 유통’ 키워드, 알고 계셨나요?

      공예는 이제 단순한 예술을 넘어서, 브랜드화와 수익화가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되었습니다.
      특히 공예 유통 플랫폼작가-소비자 연결 모델이 최근 트렌드인데요,
      이 흐름을 국가가 ‘예산’으로 밀어주는 거대한 기회가 지금 열렸습니다.

      바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이 주관하는
      『2025 공예 유통 프로모션 지원사업』입니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10.4억 규모의 정부지원금으로 공예 유통 기획을 실행할 수 있는 기회”


       

      🔍 1. 이 사업, 왜 주목해야 하나요?

      공예 유통은 전통과 현대, 지역과 글로벌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산업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공예 작가들은 작품을 만드는 데 집중하느라
      판매/유통/마케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죠.

      그래서 이번 사업이 등장했습니다.

       

      ✔️ 정부 예산을 활용해 작가와 유통사를 연결하고, 마케팅을 지원
      ✔️ 유통기획을 할 수 있는 단체/업체에게 운영경비 및 마케팅비 지원
      ✔️ 공예품의 브랜딩과 시장진입을 동시에 실현

       

      즉, 작품은 있으나 팔 곳이 없는 작가와
      팔아주고 싶은데 예산이 없는 유통기획자를 연결해 주는
      ‘실행 중심형 지원사업’입니다.


      🧾 2. 구체적인 지원 내용은?

      공예 유통을 위한 모든 운영 활동을 실비 + 마케팅비 포함해 지원합니다.

      ✅ 지원금 유형은 이렇게 나뉩니다:

      예산지원 조건 비고
      1,000만원 작가 25명 이상 / 운영 1개월 이상 최대 금액
      700만원 작가 15명 이상 / 운영 2~4주 현실적인 선택
      400만원 작가 10명 이상 / 운영 4일~2주 소규모 시도
      200만원 공예 유통 창업 3년 이하 창업 초기자 우대

       

      🟡 예산만 지원받는 게 아닙니다!

      • 기획자 사례비
      • SNS 광고비
      • 플랫폼 홍보
      • 전문가 컨설팅
      • 판판 면세점(인천공항) 입점 기회 (우수기업 한정)

      🧠 3. 어떤 아이디어가 먹히나요?

      지원 유형은 딱 2가지로 심플합니다.

      📍 ① 지정기획

      • 전통공예 + 지역특산물 결합
      • 공예관광, 로컬 팝업스토어
      • 전통 장인과 디자이너 협업상품

      🎯 ‘지역특화’ 키워드가 핵심입니다.

      📍 ② 자율기획

      • 온라인 공예 쇼핑몰 론칭
      • 크리에이터와 협업 제품
      • 친환경소재·디지털 공예 기획

      🎯 트렌드 반영한 기획이 먹힙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환경’, ‘청년 창업’ 관련 기획은 가산점 대상


      ✅ 4. 지원 조건은 까다로울까?

      솔직히 말하면 조금 꼼꼼하지만, 현실적인 수준입니다.

      • 사업자등록 필수 (개인/법인 OK)
      • 면세사업자/고유번호증 단체 ❌ 불가
      • 기획자 선임 필수
        (단, 대표가 직접 하면 OK)
      • 자부담 예산: 총예산의 20% 이상
        (인건비, 공과금, 유류비 포함 가능)
      • 마케팅 홍보 예산: 전체의 5% 이상 필수 편성
        (단, 사진촬영·인쇄물은 제외)

      📌 추가조건

      서울·경기 외 작가 참여 필수
      (30%~60% 비중 요구)

       


      💬 5. 신청하려면 어떻게?

      📅 접수 마감:
      2025년 4월 18일(금) 16:00까지

       

      📍접수 방법:
      e-나라도움 시스템 온라인 접수 ONLY

       

      🚫 이메일 / 우편 / 방문 접수 불가
      ✅ 제출 서류 총 6종 (신청서, 계획서, 사업자등록증 등)


      📈 6. 누가 참여하면 좋을까?

      ✔️ 마케팅 아이디어는 넘치지만 예산이 부족한 유통기획자
      ✔️ 공예 작가와 연결해 볼 프로젝트가 있는 문화 스타트업
      ✔️ 지역문화자원을 유통상품화 하고 싶은 로컬 크리에이터
      ✔️ 디지털 기반 공예 유통 플랫폼을 만들고 싶은 예비창업자

       

      👉 이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된다면?
      망설이지 말고 신청해 보세요.


      🔗 자세한 신청 방법, 운영계획서 예시, 심사기준은?

      여기서 전부 설명하면 너무 길어요 😊
      나머지 중요한 10%는 아래 공식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2025 공예 유통 프로모션 지원사업 공식 페이지 바로가기

       

       

       


      📊 핵심 요약 표

      항목 내 용
      사업명 2025 공예 유통 프로모션 지원
      운영기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
      지원금 업체당 최대 1천만원 (총 10.4억 원)
      모집대상 개인/법인 사업자, 공예 유통 가능 단체
      지원유형 지정기획 / 자율기획 (중복 불가)
      신청기간 ~2025.04.18 (금) 16:00
      필수조건 기획자 선임, 자부담 예산 20%, 홍보예산 5%
      우대기획 친환경, 디지털, 청년, 시니어, 지역균형

       


       

      👉 공예유통 참여기업 모집 요강 (pdf)

       

      2025 공예 유통 프로모션 지원 참여업체 공모요강.pdf
      0.29MB

       

       

       

      👉 [붙임] 예산 편성 기준 (pdf)

      [붙임] 2025년 공예 유통 프로모션 지원사업 지원금 예산편성기준.pdf
      0.1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