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아비

정부지원금, 경제정보, IT리뷰까지 한눈에!

  • 2025. 3. 28.

    by. 로아비

    목차

       

       

      청년층을 위한 정부 지원 저축 상품이 2025년을 맞아 대대적으로 개편되었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청년희망적금이며, 새롭게 청년도약계좌로 이름을 바꿔 돌아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 청년희망적금의 신청 방법, 가입 조건, 만기 수령액, 비과세 혜택,
      중도해지 가능 여부, 그리고 청년저축계좌와의 차이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5 청년희망적금 총정리: 신청 방법부터 조건, 수령액, 비과세 혜택까지!


      청년희망적금 2025란?

      청년희망적금은 만 19세~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저축을 장려하고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라는 이름으로 개편되며, 더 강력한 혜택과 유연한 구조로 변화했습니다.

      단순한 예금이 아니라, 재무적 기초가 부족한 청년층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정부 정책 상품입니다.


      신청 방법 및 절차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정해진 신청 기간 내에 전국 11개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가능한 은행
        농협, 국민, 기업, 신한, 우리, 하나, 부산, 광주, 대구, 전북, 경남은행
      • 신청 절차
        1. 해당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또는 ‘청년희망적금’ 메뉴 선택
        2. 본인 인증 후 가입 자격 확인
        3. 소득 확인 및 가구 소득 증빙 자료 제출
        4. 조건 충족 시 계좌 개설 완료

      👉 보통 월 중순~말에 신청 가능, 선착순이 아니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가입 조건 및 자격 요건

      2025년 기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연령 기준: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 병역 이행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
      • 개인 소득 기준:
        • 직전 과세 기간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기준:
        • 중위소득 250% 이하
        •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다름
      • 금융소득 기준:
        • 최근 3개 과세 기간 중 1회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니어야 함

      ✅ 위 조건을 충족한다면 대학생, 취준생, 사회초년생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만기 수령액은 얼마나?

      만기 수령액은 개인의 소득, 납입액, 금리, 정부지원금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아래 조건이라면 아래와 같이 예상됩니다.

      • 월 50만 원 × 5년 납입
      • 정부 기여금 월 3.3만 원
      • 은행 금리 연 5.5%

      👉 이 조건이라면 총수령액은 약 2,000만 원 이상도 가능하며,
      복리 효과와 기여금을 감안하면 최대 연 9.54%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계산은 각 은행의 이자 계산기를 참고하세요.


      비과세 혜택은?

      청년희망적금은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 일반 적금과 달리 이자소득세 15.4% 면제
      • 세금 없이 전액 이자 수령 가능
      • 연간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효과

      단, 3년 이상 유지해야 비과세 혜택이 유지되며, 중도해지 시 일부 혜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중도 해지 가능할까?

      기존보다 중도 해지 요건이 대폭 완화되었습니다.

      •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및 정부 기여금 모두 유지
      • 2년 이상 유지 시, 원금의 40%까지 부분 인출 가능
      • 중도해지 사유가 명확할 경우 일부 혜택 보존

      즉, 긴급한 자금이 필요할 때도 어느 정도 유연하게 활용 가능합니다.


      청년저축계좌와의 차이점은?

      청년저축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목적과 대상, 혜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청년저축계좌
      대상 근로소득 있는 청년 (19~34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청년
      소득 요건 연 7,500만 원 이하 중위소득 50% 이하
      지원 방식 매칭지원 + 비과세 정부지원금 3년간 적립
      비과세 O O
      사용 용도 자유롭게 사용 가능 자산형성 목적 (주거·교육 등)
      신청 창구 11개 은행 앱 주민센터, 복지로

       

      청년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을 위한 복지형 저축,
      청년희망적금은 보다 폭넓은 청년층을 위한 일반형 재테크 상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요약: 청년희망적금 2025 핵심 정보 정리

      신청 대상 만 19~34세 청년 (병역 복무 제외 가능)
      소득 기준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금융 조건 최근 3년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아님
      신청 방법 농협, 국민, 신한 등 11개 은행 앱 비대면 신청
      납입 한도 월 50만 원까지
      정부 기여금 최대 월 3.3만 원
      혜택 비과세, 정부지원금, 신용점수 가점, 부분 인출
      만기 수령 예시 약 2,000만 원 이상 가능 (조건에 따라 다름)
      중도해지 3년 유지 시 혜택 유지, 2년 이상 시 부분 인출 가능
      비교 대상 청년저축계좌: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복지 상품

      청년 재테크의 시작은 청년희망적금으로

      2025년 새롭게 개편된 청년희망적금, 이제는 ‘청년도약계좌’로 더 풍성한 혜택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단순한 저축 이상의 효과, 그리고 정부의 아낌없는 지원을 받으며 미래 자산을 준비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사회초년생, 대학생, 취준생 모두 지금 바로 조건 확인하고 시작해 보세요!
      지금의 작은 선택이 미래의 큰 목돈이 되어 돌아올 것입니다.


      📌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은행 앱의 '청년도약계좌 안내' 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회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